이것은 현실이다.
2010 윔블던테니스 남자단식 1회전에서 미국의 존 아이스너(세계랭킹 19위)와 프랑스의 니콜라 마위(148위)는 역사적인 경기를 가지게 되는데..
1세트 32분 4-6 이즈너 승
2세트 29분 6-3 마위 승
3세트 49분 마위 승
4세트 64분 이즈너 승
2세트까지는 너무 평범했으며 3세트 7-6(9-7)의 타이브레이크까지가면서 49분이 소요될때까지만해도 일반적인 테니스 경기였다.
타이브레이크란 테니스 경기에서 게임 카운트가 6-6일때 7포인트를 먼저 득점한 쪽을 승자로 하는 룰을 말한다.
듀스가 반복되어 시합이 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4세트마저 타이브레이크 6-7(3-7)까지 가서 64분이 소요되면서 예사롭지 않은 기운이 느껴지게된다.
4세트까지 총 소요시간만해도 174분으로 5세트 경기와 거의 맞먹는 수준이였다.
하지만 이것은 비극(?)의 시작일 뿐이였으니..
일단 이날 경기는 일몰로 인해 5세트를 진행하지 못하고 다음날로 넘어가게된다.
1박 2일 경기의 시작이다.
다음날 5세트.. 경기시작..
1-1
2-2
..
6-6
7-7
...
10-10
잠깐 테니스 경기에는 타이브레이크 룰이 있다고 하지 않았나?
맞다. 테니스는 경기 시간이 무한정 늘어나는것을 막고자 타이브레이크 룰을 도입했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5세트에는 이 타이브레이크 룰이 적용되지 않는다.
즉, 6-6 듀스 상황이 되더라도 상대방과 2점차를 내지 못하면 경기는 계속 된다는 말이다.
그렇게 경기는 계속 되었고..
11-11
...
21-21
...
30-30
31-31
..
경기는 계속 되었다.
50-50
51-51
..
59-59
하지만 이날경기는 59-59 무려 7시간 6분의 경기를 하고도 결판을 내지 못한 상황에서
일몰로 경기 중단이 된다.
결국 경기는 다시 다음날로 넘아가게 된다.
테니스를 1경기를 3일째 치게될 운명에 처한 두사람..
그리고 시작된 59-59에서의 5세트..
60-60
...
68-68
69-68
70-68 .!!!!!!!!!!!
엇.. 드디어 끝났다.
첫날 174분간 4세트 경기를 하고
이튿날 5세트 59-59 118 게임을 426분간하고도 결판을 내지 못해
3일째 65분간 20게임을 더하고서야 경기가 끝이 났다.
두 선수의 득점 상황이다.
5세트의 70-68이 눈에 띈다.
그리고 가장 아래 세트별 소요시간..
5세트 491분 ...!!!
총 소요시간 665분..
11시간 5분..
기존 최장경기시간 6시간 33분을 가뿐히 넘어서는 경기시간..
기존 기록 78개이던 서브에이스 기록을 아이스너가 112개, 마위가 103개기록하면 가뿐하게 넘어선건 보너스다.
이것은 바로 오늘(어제, 그제) 일어난 현실이다.
http://www.wimbledon.org/en_GB/scores/stats/day11/1160ms.html
* 이 두선수의 승자와 2라운드에서 경기를 할 선수도 1박 2일 경기를 했다고 한다.
내심 이틀이나 경기를 해서 몹시 부담이 되었을거다.
헌데 아이스너와 마위의 2박 3일 경기를 보고.. 없던 힘도 생겨났을것 같다.
ㅡㅡ;; 엄청나군요 경기시간이
3일동안 10시간 넘게 경기를 했으니 ㅎㅎ;;
한시간 뛰라고해도 힘들어서 못뛰는데 말입니다.
오 괭장히 재밌네요. ㅎㅎ 저도 테니스 방금 치고왔습니다. ㅋㅋㅋ
엄청났다고 하더군요..
재밌는 글이네요.ㅎㅎ 예전에 한번 테니스를 처본적이 있는데, 서로 공줍기에 바뻤던 기억이 나네요. 하도 못쳐서 코트 2개를 같이 사용해서 엄청 뛰어다녔는데.ㅋㅋㅋ
테니스가 진짜 힘든 운동이죠.. ^^;;
저도초등학생일때테니스선수였는데 이렇게많은시간동안게임을한적은없어요 최고가1시간이나넘을려나 ㅎㅎ
테니스 20~30분만 제대로 쳐서 힘이 쫙 빠지지 않나요? ㅎㅎ
기사로 봤는데 대단한 체력입니다. ;;
보통 2~3시간이 한경기니 11시간이면 4~5경기를 뛴셈이니 ㄷㄷ 엄청난 체력소모가 있었을듯합니다.